지급대상
계층 | 1차 지급액 | 2차 지급액 | 농어촌 가산 | 최대 총액 |
---|---|---|---|---|
일반 국민 (소득 하위 90%) | 15만 원 | 10만 원 | +2만 원 | 27만 원 |
상위 10% | 15만 원 | × | +2만 원 가능 | 17만 원 |
차상위 계층 | 30만 원 | 10만 원 | +2만 원 | 42만 원 |
기초 생활수급자 | 40만 원 | 10만 원 | +2만 원 | 52만 원 |
-
1차: 전 국민 최소 15만 원 + 취약 계층 보충금(차상위 15만/수급자25만) + 농어촌 거주자 2만
2차: 소득 상위 10%를 제외한 나머지 90%에게 10만 원 추가 지급. 판단 기준은 건강보험료 + 재산(공시지가 15억/시세 20억 이상 등)
예상 지급일과 지급방법
-
1차 지급: 국회 추경이 승인된 직후, 7월 중순 예상. 기초·차상위 계층은 명단 확보 완료로 추가 2주 내 빠르게 지급 가능
-
2차 지급: 소득상위 10% 선별까지 행정 절차 필요하므로 추석 이전 목표
지급 방식은 다음 중 1가지 선택:
-
지역사랑상품권(지역화폐) (모바일/실물)
-
선불카드 (실물 카드)
-
신용·체크카드 포인트 충전
💡 현금이 아닌 ‘소비 전용 수단’을 지급하는 이유는 소비 진작을 유도하고, 저축이나 투자로 흩어지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입니다.
신청방법
-
온라인: 카드사 앱(포인트 충전형), 정부24, 지역화폐 앱 등에서 신청
-
오프라인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가능
-
카드 충전 방식은 신청 후 2~3일 내 완료
-
선불카드는 우편 수령 또는 방문 수령으로 지급
※신청 기간과 세부 절차는 국회 통과 후 각 지자체 및 카드사 안내 예정
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
-
사용처: 전통시장·동네마트·음식점·학원·병원·약국·편의점 등 지역 경제 기반 업종
-
사용 제한: 백화점·대형마트·면세점·유흥업소·카지노·경마장·온라인몰 등 제외
-
유효 기간: 1차 지급분은 4개월 내 사용 (예: 7월 중순 지급 시 11월 말까지)
👉 지역화폐는 지역 내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
추가 소비 혜택
-
가전 캐시백: 11개 고효율 가전(냉장고·TV 등) 구매 시 결제 금액의 10% 환급, 최대 30만 원 / 선착순 240만 명 대상문화 할인 쿠폰: 영화·공연·숙박 등 5대 분야 쿠폰 780만 장 선착순 발급. 예) 영화 6천원 할인, 최대 4회 가능 지역화폐 할인율 확대: 비수도권은 13%, 인구소멸지역은 최대 15% 할인 적용
활용 팁
-
학부모&학생: 학원 수강권 등록, 교재 구입 등에 사용 가능.
-
가전 필요 가구: 환급 포함 최대 30만 원 지원으로 가전 업그레이드 좋습니다.
-
식자재 장보기: 전통시장·동네마트에서 푸짐하게 구매.
-
문화&레저 즐기기: 영화·공연·숙박 쿠폰은 조기 소진 예상이므로 선착순 발급되면 즉시 신청 권장
결론
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이 최소 15만 원, 최대 52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차등형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책입니다.
-
7월 중순 시작, 신청은 카드사/행정 앱→ 선불·지역화폐·포인트 선택 방식
-
사용처는 지역 소상공인 업종 중심, 4개월 이내 사용 필수
-
가전 환급·문화 쿠폰 등 추가 혜택 플러스!
0 댓글